
우주에도 색이 있습니다. 별의 온도·성운의 원소·먼지의 산란·카메라 감도와 인간의 시각 체계가 결합해 우리가 보는 우주의 색을 결정합니다. ‘검은 우주’ 속에 숨어 있는 진짜 색을 과학적으로 풀어봅니다.밤하늘은 검게 보입니다. 그래서 “우주에는 색이 없다”라고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우주에는 별빛의 온도 차이, 성운이 내는 방출선, 먼지가 빛을 가리고 붉히는 효과, 행성과 위성 표면의 반사색, 심지어 은하 전체의 평균색까지 다양한 색 정보가 존재합니다. 다만 인간의 눈은 어둠에 약하고, 대기의 간섭과 광공해가 색을 왜곡합니다. 색이 없는 것이 아니라, 색을 보기 어려운 조건에 놓여 있을 뿐입니다.※ 아래는 ‘지구 대기의 레일리 산란 vs. 진공의 우주’ 차이를 대비한 이미지입니다. 목차🕳️ 왜 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