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빛의속도 2

항성 간 전파는 어떤 속도로 퍼질까?

항성 간(혹은 성간) 공간을 지나는 전파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c)에 매우 가깝게 이동하지만, 성간매질의 플라즈마 성질과 산란·흡수 과정 때문에 '절대적으로 c'와는 약간 다르게 행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 차이가 어디에서 오고, 실제 관측에서 얼마나 눈에 띄는지(예: 펄서 신호나 FRB의 시간 지연)까지 단계적으로 설명합니다. ※ 아래는 성간 공간을 가로지르는 전파가 매질과 상호작용하면서 전달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이미지입니다.📑 목차빛의 속도와 '전파 속도'의 기본성간매질(ISM)의 성질 — 플라즈마와 전자밀도플라즈마에서의 전파 전달: 위상속도 vs 군속도디스퍼전(분산) — 주파수에 따른 지연의 원인과 수식산란·스키터링·광학적 두께: 신호의 퍼짐과 왜곡관측적 사례: 펄서·FRB에서 보이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9.18

항성 사이의 거리는 왜 광년으로 표현할까?

항성 사이의 거리는 왜 광년으로 표현할까?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단위는 우주의 엄청난 크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항성과 항성 사이의 거리는 너무 멀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위인 킬로미터나 마일로는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 왜 킬로미터가 아닌 광년일까?지구에서는 거리 단위로 보통 미터나 킬로미터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약 400km, 지구 둘레는 약 40,000km 정도죠. 하지만 우주에서는 이런 단위로는 감당이 되지 않습니다.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센타우리(Proxima Centauri)조차도 지구에서 약 4.24광년 떨어져 있습니다.이 거리를 킬로미터로 환산하면 약 40조 킬로미터에 달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8.03
반응형